윌리엄 C. 캠벨 (과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C. 캠벨은 아일랜드 출신의 과학자이며, 기생충 질환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더블린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동물학 학위를 받고,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머크 치료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기생충 치료에 효과적인 이버멕틴 개발에 기여했고, 이로 인해 강물 실명증과 같은 질병 퇴치에 크게 기여했다. 2015년에는 오무라 사토시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윌리엄 C. 캠벨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윌리엄 세실 캠벨 |
원어 이름 | William Cecil Campbell |
출생일 | 1930년 6월 28일 |
출생지 | 아일랜드 자유국 도니골주 라멜톤 |
국적 | 아일랜드, 미국 (1964년부터) |
학력 | |
모교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PhD) |
학위 논문 제목 | Fascioloides magna (trematod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dult in relation to disease |
학위 논문 URL | 학위 논문 |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57년 |
경력 | |
직장 | MSD 드류 대학교 |
연구 분야 | 기생충학 |
업적 | |
주요 업적 | 아버멕틴 발견 |
수상 | |
수상 내역 | 미국 국립과학원 회원 (200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2015년) 왕립 학회 회원 (2020년) |
2. 생애
1957년부터 1990년까지 캠벨은 머크 치료 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1962년에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57] 1984년부터 1990년까지는 어세이 연구와 개발 분야의 수석 과학자 겸 책임자를 역임했다. 오무라 사토시와 함께 회충 기생으로 인한 감염을 막는 치료 연구로 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59][60] 2002년에는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일원으로 뽑혔다.[58]
캠벨은 195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어니스트 월턴에 이어 두 번째로 노벨상을 수상한 아일랜드 과학자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윌리엄 C. 캠벨은 1930년 아일랜드 더니골주 래멀턴()에서 농장 공급업자 R.J. 캠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6]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제임스 데스몬드 스미스와 함께 공부했으며,[22] 1952년 동물학에서 최우등으로 졸업했다.[5] 이후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 입학하여 양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인 간질에 대한 연구로 1957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5]연도 | 내용 |
---|---|
1930년 | 아일랜드 더니골 주 라멜턴에서 농장을 경영하는 R. J. 캠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36] |
1952년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최우등 학위로 졸업했다.[52] |
1957년 |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진학한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에서 양에 기생하는 간흡충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33] |
2. 2. 머크 연구소 경력
캠벨은 1957년부터 1990년까지 머크 연구소에서 치료 연구를 진행했으며, 1984년부터 1990년까지는 어세이 연구와 개발 분야의 수석 과학자 겸 책임자를 역임했다.[57]머크 재직 중 캠벨은 아일랜드 대기근의 원인이었던 감자 역병을 치료하는 살균제 티아벤다졸을 발견했다.[5][9] 티아벤다졸은 사람의 트리키넬라증 치료에도 사용된다.[10]
캠벨은 기생충 질환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일본의 미생물학자 오무라 사토시는 Streptomyces 속의 다양한 천연 토양 기반 박테리아를 분리 및 배양했다. 캠벨은 오무라의 배양물을 연구하여 가축 및 농장 동물의 기생충 치료 효능을 조사하는 머크 연구팀을 이끌었다. 그는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Streptomyces avermitilis'' 표본에서 거대 고리 락톤을 추출했고, 추가 변형을 거쳐 이버멕틴(일반명) 또는 멕티잔으로 명명했다.[11]
1978년, 말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유형의 벌레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법을 확인한 캠벨은 유사한 치료법이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련 유형의 벌레에도 유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1981년 머크는 세네갈과 프랑스에서 강변 실명증에 대한 1단계 치료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3][12] 경구 복용 시 이 약물은 질병을 유발하는 기생충을 마비시키고 불임화한다.[14] 머크는 코끼리병 치료 연구도 진행했다. 오무라 사토시, 윌리엄 캠벨과 그들의 공동 연구는 기생충 치료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약물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3][12]
1987년, 머크는 이버멕틴 (멕티잔)을 개발도상국에 기증하기로 결정했고, 캠벨은 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7][13] 세계 보건 기구와 함께 머크는 강변 실명증 근절을 목표로 하는 "전례 없는" 약물 기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14] 2001년경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중동의 총 33개국에서 약 2,500만 명이 매년 치료를 받았다.[12][15][16][17] 2013년, 카터 센터는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에서 강변 실명증이 근절되었음을 확인했다.[18]
2. 3. 은퇴 이후
1990년부터 2010년 은퇴할 때까지 캠벨은 뉴저지주 매디슨에 있는 드루 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학부생 연구를 지도하고 기생충학 과정을 가르쳤다.[12] 그는 스콧의 불운한 테라 노바 탐험대에서 외과 의사였던 에드워드 L. 앳킨슨의 연구를 포함하여 남극 탐험에서 기생충학의 역사에 대해 저술했다.[7][19]3.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1987년 | 미국 기생충학회 회장[37] |
2002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37][49] |
2008년 | 미국 기생충학회 ASP 특별 공로상[37] |
2015년 | 오무라 사토시, 투유유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50][51][52] |
2016년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명예 펠로우[53] |
2020년 | 왕립 학회 회원[54] |
2021년 | 아일랜드 과학 재단 성 패트릭 데이 과학 메달[55] |
4. 개인 생활
윌리엄 C. 캠벨은 메리 매스틴 캠벨과 결혼했다.[7][37] 그는 출판된 시인이자 화가이며,[24][56] 탁구와 카약을 취미로 한다.[22][52]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020-09-19
[2]
뉴스
William C Campbell, Satoshi Ōmura and Youyou Tu win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www.theguard[...]
2015-10-05
[3]
웹사이트
The 2015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Press Release: William C. Campbell, Satoshi Ōmura, Youyou Tu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5-12-08
[4]
뉴스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Awarded to William C. Campbell, Satoshi Omura, Youyou Tu
https://www.wsj.com/[...]
2015-10-05
[5]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Sc.D.)
https://archive.toda[...]
2015-12-09
[6]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 Facts
https://www.nobelpri[...]
2016-09-24
[7]
간행물
Presentation of the 2008 ASP Distinguished Service Award to William C. Campbell
http://digitalcommon[...]
2015-12-09
[8]
뉴스
Prof. William Campbell, of NJ, wins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web.archive.[...]
2015-10-06
[9]
서적
Annual Report on Research and Technical Work of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 Northern Ireland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 Northern Ireland
1975
[10]
서적
Adverse Effects of Fo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US
2015-12-09
[11]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stanford[...]
[12]
뉴스
Former Merck scientist shares Nobel in medicine
https://web.archive.[...]
2015-10-06
[13]
뉴스
A Noble and Laudable Nobel Laureate: William C. Campbell
http://www.huffingto[...]
2015-10-13
[14]
뉴스
Merck Offers Free Distribution of New River Blindness Drug
https://www.nytimes.[...]
1987-10-22
[15]
간행물
The Case of Ivermectin: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cess to Care and Trea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16]
웹사이트
African Programme for Onchocerciasis Control (APOC)
https://web.archive.[...]
2015-12-08
[17]
웹사이트
MORE THAN 25 Years: The MECTIZAN® Donation Program
http://www.merck.com[...]
2015-12-08
[18]
뉴스
Nobel Laureate Dr. William C. Campbell: A man of character, passion and art
https://www.prweb.co[...]
2015-10-29
[19]
간행물
Historical Basis of Binomials Assigned to Helminths Collected on Scott's Last Antarctic Expedition
http://bionames.org/[...]
2015-12-09
[20]
웹사이트
"Member Directory {{!}} William Campbel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10-05
[21]
뉴스
Irish scientist wins Nobel Prize for Medicine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10-05
[22]
뉴스
Meet Ireland's new Nobel Laureate, William C Campbell
http://www.irishtime[...]
2015-10-09
[23]
웹사이트
Samuel Beckett – Facts
http://www.nobelpriz[...]
2018-04-03
[24]
웹사이트
Dr. William Campbell: Nobel Laureate, Painter, Actor, Writer
https://web.archive.[...]
Drew University
2015-12-09
[25]
뉴스
William C Campbell, Satoshi Ōmura and Youyou Tu win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www.theguard[...]
2015-10-05
[26]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020-09-19
[27]
웹사이트
William Campbell and Vincent Roche win St Patrick's Day Science Medals
https://www.siliconr[...]
2021-03-16
[2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5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THE NOBEL PRIZE
2015-10-05
[29]
간행물
History of avermectin and ivermectin, with notes on the history of other macrocyclic lactone antiparasitic agents
2012-05
[30]
간행물
Ivermectin: a potent new antiparasitic agent
1983-08
[31]
뉴스
William C Campbell, Satoshi Ōmura and Youyou Tu win Nobel prize in medicine
http://www.theguardi[...]
2015-10-07
[32]
뉴스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Awarded to William C. Campbell, Satoshi Omura, Youyou Tu
http://www.wsj.com/a[...]
2015-10-05
[33]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Sc.D.)
http://www.rameltont[...]
2015-12-09
[34]
웹사이트
Drew University Nobel Prize Winner Refutes Ivermectin Meme
https://drew.edu/sto[...]
Drew University
2021-09
[35]
Fact check
False meme: Nobel laureate did not say ivermectin 'cures' covid-19
https://www.washingt[...]
2021-09-08
[36]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 Facts
https://www.nobelpri[...]
2016-09-24
[37]
간행물
Presentation of the 2008 ASP Distinguished Service Award to William C. Campbell
http://digitalcommon[...]
2015-12-09
[38]
뉴스
Prof. William Campbell, of NJ, wins Nobel Prize in medicine
http://newjersey.new[...]
2015-10-06
[39]
서적
Annual Report on Research and Technical Work of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 Northern Ireland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 Northern Ireland
1975
[40]
서적
Adverse Effects of Fo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US
2015-12-09
[41]
간행물
History of avermectin and ivermectin, with notes on the history of other macrocyclic lactone antiparasitic agents
null
2012-05
[42]
간행물
Ivermectin – Old Drug, New Tricks?
2017-06
[43]
간행물
Avermectins, New Family of Potent Anthelmintic Agents: Producing Organism and Fermentation
[44]
간행물
The life and times of ivermectin - a success story
2004-12
[45]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Nobel Prize for Medicine 2015--The Public Health Legacy and Impact of Avermectin and Artemisinin
2015-12
[46]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Nobel Prize for Medicine 2015--The Public Health Legacy and Impact of Avermectin and Artemisinin
https://pubmed.ncbi.[...]
PubMed
2022-02-12
[47]
뉴스
Former Merck scientist shares Nobel in medicine
http://articles.phil[...]
2015-10-06
[48]
간행물
Historical Basis of Binomials Assigned to Helminths Collected on Scott's Last Antarctic Expedition
http://bionames.org/[...]
2015-12-09
[49]
웹사이트
Member Directory {{!}} William Campbel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10-07
[50]
웹사이트
The 2015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Press Release: William C. Campbell, Satoshi Ōmura, Youyou Tu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5-12-08
[51]
뉴스
Irish scientist wins Nobel Prize for Medicine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10-05
[52]
뉴스
Meet Ireland's new Nobel Laureate, William C Campbell
http://www.irishtime[...]
2015-10-09
[53]
웹사이트
TRINITY MONDAY 2016- FELLOWS AND SCHOLARS
https://www.tcd.ie/S[...]
Trinity College Dublin
2022-01-27
[54]
웹사이트
William C. Campbell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020-09-19
[55]
웹사이트
William Campbell and Vincent Roche win St Patrick's Day Science Medals
https://www.siliconr[...]
2022-10-21
[56]
웹사이트
Dr. William Campbell: Nobel Laureate, Painter, Actor, Writer
https://www.drew.edu[...]
Drew University
2022-10-21
[57]
뉴스
Prof. William Campbell, of NJ, wins Nobel Prize in medicine
http://newjersey.new[...]
2015-10-06
[58]
웹인용
Member Directory {{!}} William Campbel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10-05
[59]
뉴스
Irish scientist wins Nobel Prize for Medicine
http://www.rte.ie/ne[...]
rte.ie
2015-10-05
[60]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5
http://www.nobelpriz[...]
Nobel Media AB
2015-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